시놀로지 정품이 아니다 보니, 시놀로지 정식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.
- Quick Connect 는 당연히 사용하지 못하며, 비디오 스테이션 오프라인 트랜스코딩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.
시놀로지 정품이 아니여서 동작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긴하지만, 가장 비중이 큰 것은 비디오 테이션의 오프라인 트랜스코딩이 가장 타격이 크다.
시리얼 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
비디오스테이션에서 오프라인 트랜스코딩을 돌려보며 테스트 해도 되지만, 이게 반응이 좀 느리고, 뭔가 제대로 설정이되서 동작하는지 감이 안 올 경우가 있다.
그래서 이전글에 설명했던 SSH 접속하는 방법을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SSH 접속하여 sudo로 root 권한 프롬프트 연결
2. 오프라인 트랜스코딩 정상 동작 명령어 실행
3. grub.cfg 수정 후 재부팅 방법
4. 2단계 및 3단계를 확인해 가면서 시리얼 번호 수정
방법 1
tail -f /var/log/messages 하여 추가되는 로그를 확인한다.
방법 2
# rm /usr/syno/etc/codec/activation.conf
# synocodectool --activate_codec h264_dec --pkgname videostation
# more /usr/syno/etc/codec/activation.conf
또는 합쳐서
rm /usr/syno/etc/codec/activation.conf && synocodectool --activate_codec h264_dec --pkgname videostation && more /usr/syno/etc/codec/activation.conf
쓴다
결과가
{"success":true,"activated_codec":[" ... }
로 나온다면 안심해도 좋다.
결과가
{"success":false," ...}
라면 아래 내용을 입력하여 시리얼 번호를 수정해 본다.
# mkdir /mnt/synoboot1
# cd /dev
# mount synoboot1 /mnt/synoboot1
# vi /mnt/synoboot1/grub/grub.cfg
# umount /mnt/synoboot1
# rmdir /mnt/synoboot1
또는 합쳐서 실행 후 편집이 완료되면 재부팅 하게 할 수도 있다.
# mkdir /mnt/synoboot1 && cd /dev && mount synoboot1 /mnt/synoboot1 && vi /mnt/synoboot1/grub/grub.cfg && umount /mnt/synoboot1 && rmdir /mnt/synoboot1 && reboot -n
* 시놀로지 시리얼 번호는 인터넷에 많이 있습니다.
* 맥어드레스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. 혹시 모르니 앞의 문자 6개만 001132 로 시작할 수 있게 해주세요.
* 헤놀로지 제품 모델명과 동일한 모델명의 시리얼번호 사용을 추천 드립니다.
* 모델명이 다를 경우 /var/log/messges 에 계속해서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니 기능상으로는 몰라도 찜찜합니다.
* VMDK 파일이건, USB 에 담겨져 있는 파일이건 synoboot1을 mount하여 grub.cfg 수정 후 umount 한 것이기에 이미지를 다시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.
이상입니다.
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,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.
구독하기 or 공감 or 댓글
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
USB에 부트이미지 복사하는 방법 (0) | 2020.04.20 |
---|---|
DS218+ DS918+ DS218play DS218 제품 비교 및 DS220+ 제품 확인 (0) | 2020.04.17 |
시놀로지(Synology) SSH 접속 방법 (0) | 2020.04.16 |
가상 머신에 헤놀로지(SYNOLOGY) 설치 하는 방법 (0) | 2020.04.16 |
헤놀로지 (XPEnology) 와 SYNOLOGY의 차이 (0) | 2020.04.16 |
댓글 영역